중국 희토류 수출금지 결정, 트럼프 관세 맞불 영향?
최근 미중 무역전쟁이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며 전 세계 산업계에 큰 충격을 주고 있습니다.
중국이 전 세계 첨단 산업의 핵심 소재인 희토류와 희토류 자석의 수출을 전격 중단하는 조치를 발표했기 때문입니다.
미국 뉴욕타임즈(NYT)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지난 4일, 정제된 6가지 희토류와 희토류 자석의 수출을 제한하라는 명령을 내렸습니다. 이에 따라 해당 품목을 해외로 수출하려면 반드시 중국 당국의 특별 허가를 받아야만 하게 되었습니다.
이 조치는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최근 중국을 포함한 전 세계를 대상으로 상호 관세를 부과한 데 대한 직접적인 보복 조치로 해석됩니다.
희토류, 왜 이렇게 중요한가?
희토류(Rare Earth Elements)는 이름처럼 희귀해서가 아니라, 정련 과정이 어렵고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치는 특성 때문에 '희소한 자원'으로 분류됩니다. 희토류는 총 17개의 원소군을 일컫는 말로 전기차, 스마트폰, 드론, 로봇, 미사일, 풍력 발전기 등 첨단 기술 제품의 핵심 소재입니다.
예를 들어, 전기차에 사용되는 모터, 스마트폰의 터치스크린, 미사일의 유도 시스템 등 거의 모든 고부가가치 산업 제품에 이 희토류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만큼 수출이 제한될 경우, 관련 산업 전반에 막대한 차질이 발생할 수밖에 없습니다.
중국은 단순한 생산국을 넘어, 세계 희토류 공급망을 사실상 독점하고 있는 국가입니다.
미국지질조사국(USGS)에 따르면, 전 세계에서 채굴 가능한 희토류 매장량은 약 1억 2,000만 톤이며, 이 중 중국이 보유한 양만 무려 4,400만 톤(36.7%)에 달합니다.
반면 미국의 매장량은 전체의 1.2% 수준인 140만 톤에 불과합니다. 호주도 2.8%인 340만 톤 정도에 그쳐, 중국의 희토류 수출 제한은 미국과 우방국들에게 직접적인 타격이 됩니다.
실제로 미국 내 유일한 희토류 생산업체인 MP머티리얼스조차 채굴한 희토류를 중국에 보내 정련하고 있을 정도로, 중국은 정련 능력에서도 독보적입니다. 이는 희토류 정련 과정에서 염산, 황산 등 유해 물질이 발생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선진국이 이를 기피한 결과입니다.
미국 등 주요국 기업들은 사태 악화에 대비해 희토류 비축에 나섰지만, 비축량과 품목에 따라 생산 차질 시점을 예측하기 어렵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특히 반도체·배터리 산업처럼 글로벌 공급망에 의존하는 산업은 중국의 조치가 장기화될 경우 막대한 피해가 우려됩니다.
이번 중국의 조치는 단순한 경제 보복을 넘어, 희토류라는 전략 자원을 무기화한 상징적인 사례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강경한 무역 정책에 대한 중국의 대응은 앞으로 글로벌 산업 구조에도 큰 변화를 몰고 올 수 있습니다.
한국 또한 일부 희토류 자원이 매장돼 있으나, 경제성과 환경 문제로 인해 상용화되지 못한 상황입니다. 이번 사태는 국내 기술 자립과 자원 외교의 중요성을 다시금 일깨워주는 경고이기도 합니다.
'세상 이야기 > 제테크.경제.비지니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카오뱅크 비상금대출 신청방법 조건 신용등급 하락할까? (0) | 2025.04.17 |
---|---|
경북 산림사관학교 교육생 모집 신청방법, 일정, 비용 총정리 (1) | 2025.04.11 |
노란우산공제 해지방법 및 이율, 소득공제 총정리 (2) | 2025.04.11 |
글자수 세기 프로그램 공백 포함, 공백 제외 (0) | 2025.04.10 |
21대 대통령 선거일 후보 조기 대선 날짜는? (3) | 2025.04.09 |
댓글